도파민네이션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것일 것이고 나도 느끼는 것이 요즘 뭔가 중독이 됐다는 것이다. 유튜브, 소셜네트워크, 커뮤니티, 비디오 게임, OTT 등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수 많은 것들이 너무 많고 심지어 비용 또한 저렴한데 접근성 또한 언제 어디서나 가능해졌다. 이런 낮은 비용과 손쉬운 접근은 중독을 일으키기 너무 좋은 환경이었고,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줄여야지 생각은 하면서도 여전히 손에서 스마트폰을 내려놓지 못하고 있다. 물론 나를 포함해서 말이다.

이 책은 도파민이 행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이런 도파민을 분비시키는 행위가 어떻게 결국 중독을 만들어내고 후에 가서 오히려 고통을 야기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저자는 쾌락과 고통의 저울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사람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 쾌락과 고통이 균형을 맞추도록 되어 있는데, 우리가 쾌락을 점점 누를수록 뇌는 오히려 고통을 눌러 균형을 맞춘다는 것이다. 문제는 쾌락이 사라진 이후에도 바로 고통 누르기를 멈추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고통에 빠지게 되고, 이 고통을 다시 벗어나기 위해 사람은 쾌락을 누르려고 하게 되는데, 이 순환이 바로 중독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저자는 오히려 적절한 수준의 고통은 뇌가 쾌락을 누르게 만들어서 중독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고통을 줄만큼 차가운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뇌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쾌락을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해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중독을 막기 위한 저자의 경험에 근거한 추가적인 중독을 막는 방법은 사실대로 말하기다. 아울러 친사회적 수치심을 통해서도 중독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적절한 고통을 주는 방법과 달리 이 두가지는 저자 본인의 환자 치료 경험에 의한 것이라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오랜 경험을 가진 저자였고, 본인 또한 중독을 경험했기에 귀 기울여 볼 만한 것 주장으로 보인다.